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1

대명사의 특징 지난 시간에는 품사 중에 명사에 대해서 공부했는데요, 오늘은 대명사에 대해서 공부하겠습니다. 2. 대명사 대명사의 정의는 사람이나 사물을 대신 나타내는 단어를 뜻합니다. 대명사의 대표적인 특징 3가지가 있는데 첫 번째는 복수 표시가 가능하고, 조사가 붙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우리들, 우리들은 / 그들, 그들이 / 그녀, 그녀들은 처럼 '들'이라는 복수 표시가 대명사 뒤에 붙을 수 있고, 그 복수 표시 뒤에 '은, 는, 이, 가'와 같은 조사가 붙을 수 있습니다. 두 번째 특징으로는 관형사의 수식을 받을 수 없다는 것입니다. 예시 문장을 보면 저 그녀, 저 우리와 같이 대명사 앞에 관형사인 '저'가 붙으면 느낌이 이상하죠? 대명.. 2021. 4. 26.
단어의 갈래, 명사 품사의 뜻은 문법적인 성질이 공통된 단어끼리 모아 놓은 단어의 갈래를 말합니다. 품사를 분류하는 기준은 3가지가 있는데 기능, 의미, 형태입니다. 오늘은 품사 중에서 명사에 대해서 공부하겠습니다. 1. 명사 명사는 사람이나 사물의 이름을 나타내는 단어입니다. 명사의 종류로는 쓰이는 범위에 따라서 보통 명사와 고유명사 2가지로 나누고 자립성 유무에 자립명사와 의존 명사로 나뉩니다. 쓰이는 범위에 따른 보통 명사는 책상, 의자, 연필, 하늘과 같은 단어이고, 고유 명사는 사람 이름이름이나 지역명, 상호명 등을 말합니다. 예를 들면 철수, 영수, 강감찬, 동대문, 한강 등이 바로 고유 명사입니다. 자립성 유무에 따른 자립명사로는 별, 동대문 등이며, 의존명사는 보편성 의.. 2021. 4. 24.
바라다 바래다 , 뒤처지다 뒤쳐지다 안녕하세요. 발음이 비슷해서 헷갈리는 고유어 마지막 3편입니다. 오늘도 같이 공부해요! 1. 다르다 vs 틀리다 다른 것과 틀린 것은 전혀 다른 의미입니다. 우리들은 '다르다'를 사용해야 할 상황에서 '틀리다'를 쓸 때도 있고, 그 반대의 경우도 있는데요, 정확한 의미 차이 확인해보세요. 다르다 1 : 비교가 되는 두 대상이 서로 같지 않다. → 쌍둥이지만 얼굴이 다르다. → 몸이 예전과 다르다. 다르다 2 : 보통의 것보다 두드러진 데가 있다. → 컴퓨터를 그렇게 쉽게 고치는 것을 보니 기술자는 다르다. 틀리다 1 : 셈이나 사실 따위가 그르게 되거나 어긋나다. → 계산이 틀렸어. → 대사가 틀린 줄도 몰랐네. 틀리다 2 : 바라거나 하려는 일이 순조롭게 되지 못하다. → .. 2021. 4. 21.
며칠 몇일, 금새 금세 안녕하세요. 발음이 비슷해서 헷갈리는 고유어 2편입니다. 오늘도 우리말 공부 계속해봐요! 1. 며칠 vs 몇일 이거 모르시는 분들 많으실 거예요. 저도 우리말 공부하면서 최근에 알게 되었는데, 정말 놀랐네요. 우리가 일상에서 흔히 사용하는 말인데 올바른 표현은 몇일(X)이 아니고 며칠(O)입니다. 몇일은 없는 말입니다. 따라서 '며칠'이 맞는 표현입니다. 며칠 : 명사로 그달의 몇째 되는 날, 몇 날을 뜻합니다. → 어제가 며칠이었는지 기억이 안 난다. → 콩이 생일이 며칠이야? → 며칠 전, 회를 먹었다. 2. 금세 vs 금세 금세와 금세, 정확히 구분하시나요? 저를 포함해서 헷갈려하시는 분들 많으실거라고 생각되는데요, 지금부터 정확한 의미와 예시문장을 공부해보겠습니다. 금.. 2021. 4. 20.